재고자산(판매용 자산)
안뇽하세요 긍미입니다^^

오늘은 재고자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- 먼저 재고자산이란 무엇일까요?
재고자산이란 기업의 정상적인 영업활동 과정에서 판매목적(상품, 제품)으로 소유하고 있거나,
판매할 제품의 생산을 위하여 소유하고 있는 저장품, 원재료와 생산 중에 있는 재공품 등을 말합니다.
- 재고자산의 종류
- 상품: 판매를 목적으로 구입한 상품
- 저장품: 소모품 및 기타 저장품
- 원재료: 제품제조를 위하여 매입한 원료와 재료
- 재공품: 제품 또는 반제품의 제조를 위하여 제조과정에 있는 것(미완성품)
- 제품: 판매를 목적으로 제조한 생산품·부산물(완성품)
- 반제품: 자가 제조한 중간제품과 부분품(자체적으로 제품성이 있지만 다른 제품과 결합시 완성됨)
- 재고자산의 취득원가
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는 매입가격과 매입부대비용을 포함하고, 매입환출(반품) 및 에누리(매입에누리)와
매입할인을 차감하여 계산합니다.
- 재고자산평가방법
1.재고자산 수량결정 방법
1)계속기록법: 기초재고 + 매입재고 - 매출재고 (장부재고)
-유지비용 많이 듬
-구체적(수시 파악 가능)
-기말재고 정확히 파악 안됨
2)실지재고조사법: 기초재고 + 매입재고 - 기말재고 (->매출원가 산출됨)
(*매출원가= 기초상품재고액 + 당기순매입액 - 기말상품재고액 )
-유지비용 적게 듬
-수시 파악 불가
-기말재고 정확히 파악 가능
EX)
1/1전기이월 200개 단가100원
3/3입고 300개 단가120원
8/8출고 400개
9/9입고 300개 단기140원
11/11출고 300개
12/31 기말) 실지재고조사법 80개(실제)/ 계속기록법 100개(장부)
※20개의 감모손실 발생) 정상적감모: 매출원가에 포함/ 비정상적 감모: 재고자산 감모손실
2.재고자산 단가결정
1)개별법: 재고자산의 원가를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액을 결정하는 방법입니다.
-주로 고가품이나 귀중품에 적용이 가능
-실제물량 흐름과 일치하고 이론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방법
-수익과 비용이 정확하게 대응되어 정확한 이익 측정 가능
2)선입선출법: 먼저 매입한 상품을 먼저 매출하는 형식으로 인도단가를 결정하는 방법
-과거 매입액이 매출원가가 됨
-최근 매입액이 기말상품재고액이 됨
-물가상승시 매출원가가 적고 매출이익은 크게 표현됨
-일반적 물량 흐름과 일치
3)후입선출법: 최근에 매입한 상품을 먼저 매출하는 형식으로 인도단가를 결정하는 방법
-최근 매입액이 매출원가가 됨
-과거 매입액이 기말재고액이 됨
-물가상승시 매출원가가 크고 매출이익은 적게 표현됨
-일반적 물량 흐름과 일치하지 않음
4)이동평균법: 상품 매입시 마다 평균단가를 구하여 인도단가를 결정
- 이동평균단가= (매입직전의 재고액+금번의 매입액) ÷ (매입직전의 재고수량+금번의 매입수량)
-실제재고조사법에서는 사용불가
5)총평균법: 기초재고액과 일정기간에 대한 순매입액의 합계액을 기초수량과 순매입수량을 합산한 수량으로
나누어서 총평균단가를 구하고 이를 인도단가로 결정
- 총편균단가=총매입액÷총매입수량
*인플레이션(물가상승 시)
매출원가(비용): 선입선출법<이동평균법<총평균법<후입선출법
기말재고액: 선입선출법>이동평균법>총평균법>후입선출법
당기순이익:선입선출법>이동평균법>총평균법>후입선출법